기사 메일전송
36년 만에 전국 지하수 지도 완성…유역단위 조사로 새 출발
  • 한혜수 기자
  • 등록 2025-09-02 14:57:08
기사수정
  • 환경부, 9월 3일 건설회관서 기초조사 완료 선포식 개최
  • 167개 지역 조사 성과 집대성…지하수 관리 기반 마련
  • 빅데이터 활용 공모전 시상식·성과 전시도 함께 진행

환경부는 9월 3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전국 지하수 기초조사 완료 선포식’을 열고, 36년간 이어온 전국 지하수 지도의 완성을 공식 선언했다.

 

대국민 지하수 빅데이터 공모전 포스터

이번 행사는 1990년 시범사업으로 시작해 1995년 본격화된 국가 단위 지하수 기초조사가 마침내 전국 167개 지역에서 마무리된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유역단위 조사로의 전환을 알리는 자리다.

 

지하수 기초조사는 지하수의 부존 특성, 수위, 수질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국가 지하수 지도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지하수지열협회 등 전문기관들이 참여해 장기간에 걸친 조사와 분석을 수행했다.

 

이번에 완성된 전국 지하수 지도는 서울에서 제주까지 지역별 물길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반 자료로, 향후 통합 물 관리 정책의 핵심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선포식에는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참석했으며, 기념영상 상영과 공연, 그리고 36년간의 발자취를 되돌아보는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아울러 지하수 조사에 기여한 유공자 5명에게 표창이 수여됐고, 함께 열린 ‘대국민 지하수 빅데이터 공모전’ 최종 수상작 7팀에 대한 시상식도 진행됐다.

 

이번 공모전은 전국적으로 축적된 지하수 조사 자료와 개방형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창의적 아이디어와 빅데이터 분석 성과를 발굴하기 위해 6월 25일부터 7월 30일까지 진행됐다.

 

접수된 56건 중 발표 심사에 오른 14개 작품이 행사장에서 전시됐으며, 최종 7개 팀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전국 지하수 물길지도의 완성은 국내 수자원 관리 역사에 남을 중요한 성과”라며 “앞으로 유역단위 조사로 전환해 지하수를 포함한 통합 물 관리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0
유니세프
국민 신문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